•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제조업 67%, 코로나19 사태 길어질 경우 ‘한계기업 전락’ 우려

포스트 코로나19 대비 위한 최우선 경영전략으로 ‘생산 증대’ 및 ‘공급망 다변화’ 꼽혀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5.12 14:30:54

(그래픽=부산상공회의소 제공)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부산지역 제조업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에서 코로나19의 세계적 영향이 장기화할 경우 상당수의 부산 제조기업이 한계기업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는 지난 7일 부산지역 주요 제조업체 200여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제조업 비상경영대책 현황’ 조사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내용은 코로나19 감염증의 영향에 대한 감내 가능 기간, 비상경영대책 수립 유무와 세부내용, 포스트 코로나19를 대비한 향후 경영전략 등이다.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현재 상황이 지속하면 3개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응답한 업체가 34.5%로 나타났다.

또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만일 코로나19의 영향이 향후 6개월 넘게 지속할 경우 조사기업의 67%가 한계기업으로 내몰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조업에 대한 경영 안정 조치가 시급해 보인다.

반면 33%의 기업은 1년 이상 지속하더라도 감내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설문 참여 업체 가운데 업종별로 자동차부품, 석유 관련, 의복, 전자·통신장비 등의 업종에서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그래픽=부산상공회의소 제공)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상경영대책을 시행하고 있거나 검토하고 있는 기업은 조사 대상 기업의 49%로 집계됐다. 시행 기업이 39.5%, 검토 중인 기업은 9.5%로 나타났다.

비상경영대책 계획이 없다고 한 기업도 과반을 차지했지만 상황이 길어질 경우 한계기업으로 내몰릴 수 있는 기업의 비율을 감안하면 별다른 대응책을 세우지 못한 기업도 다수 포함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 상황에서 부산지역 제조업체가 가장 많이 선택한 비상경영대책은 ‘생산 축소’로 조사됐다. 비상경영대책 계획을 생각한 49% 업체 중 55.4%가 이를 시행하거나 고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으로는 ▲고용조정 16.0% ▲현금 유동성 확보 14.5% ▲투자축소 8.3% ▲감염 확산방지 노력 5.8% 등의 순으로 답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세부 대책으로는 생산 축소를 위해 ‘공장가동 축소’가 28.3%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연장근무 제한’이 20%, 연차 독려가 16.1%, 단축 근무가 16.1% 등 근무 시간 또는 매출목표를 축소하려는 응답이 많았다.

사태 종결 이후 포스트 코로나19를 대비한 최우선 경영전략으로는 경영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생산 증대’와 ‘공급망 다변화’를 가장 많이 고려한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경기 회복에 맞춰 생산 증대와 이를 위한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기업은 21.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중국산 원부자재 수급에 차질을 빚어 ‘공급망 다변화’를 고려하는 기업도 20.3% 됐다.

 

(그래픽=부산상공회의소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