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쇼크로 인해 영화계가 직격탄을 맞으며 좀처럼 회복할 기미가 안 보이고 있는 상황 속에 4월 관객 수도 연일 바닥을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는 2020년도 4월 한국영화산업 결산을 14일 발표하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관객 수와 매출 급감세를 이으며 연일 최저기록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결산에서 관객 수가 영화관 입장 통계 기록을 시작한 지난 2004년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4월에는 이보다 더 떨어져 월별 관객 수 역대 최저인 97만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사: 코로나 쇼크, 영화계도 직격탄… 올 3월 관객, 전년 대비 87.5%↓]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지난해 4월 관객 1237만명보다 92.7% 하락한 수치다. 4월 전체 매출액은 전년 동월대비 1057억원(93.4%) 줄어든 75억원을 기록했다.
4월 한국영화의 관객 수는 전년 동월대비 273만명(94.9%) 감소한 14만명을 기록했다. 이 또한 지난 2004년 이후 한국영화 월별 관객 수로는 최저치다. 매출액은 전년 동월대비 224억원 줄어든 11억원이다.
4월 외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동월대비 964만명(92.1%) 줄어든 83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4월 외국영화 관객 수로는 역대 최저 기록이며 역대 월별 수로는 지난 2005년 이후 최저치다.
4월 전체 흥행순위 1위는 11만명을 동원한 ‘1917’(누적 82만 5000명)이 차지했다. 이어 지난 3월 25일 재개봉한 ‘라라랜드’가 한 달 동안 7만 6000명을 모아 전체 2위에 올랐다. 한국영화 최고순위는 저예산 스릴러 ‘서치 아웃’이 3만 4000명을 기록하며 전체 5위에 올랐다.
특히 지난 3월 주요 극장들이 재개봉 기획전을 시작하며 재개봉 상영 편수도 3월부터 크게 늘어나고 있다. 올 1월과 2월 각각 6편, 10편이었던 재개봉 상영 편수는 3월에 53편, 4월에 70편으로 크게 늘었다.
4월 재개봉 관객 수는 전년 동월대비 202.1% 늘어난 24만 2963명을 기록했다. 이에 재개봉 관객 비중도 지난 2월 1.5%에서 3월 15.8%로 급증했으며 4월 25%까지 오른 상태다.
영진위 분석에 따르면 극장 사운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라라랜드’와 같은 강점을 지닌 영화들이 재개봉작 가운데 관객의 선택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어벤져스’ 시리즈와 지난 3월 재개봉 흥행 1위 영화인 ‘해리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와 같은 영화는 IMAX, 4D 등 특수상영 비중이 높아 온라인 영상 서비스보다 극장이 적합하다는 것이다.
또한 극장 개봉 없이 VOD로 먼저 출시하거나 극장 상영 없이 온라인 플랫폼인 ‘넷플릭스’로만 공개되는 영화도 등장하고 있다. 저예산 학원 액션물인 ‘공수도’는 코로나19로 인한 개봉작 부족 현상으로 VOD로 먼저 선보이고 난 뒤 개봉했으며 ‘사냥의 시간’은 극장 개봉 없이 넷플릭스에 바로 공개했다.
이와 함께 ‘트롤: 월드투어’는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주요 영화시장 극장이 영업을 중단한 상황에서 VOD 동시 개봉을 택했다. 그러나 국내 CGV와 롯데시네마가 VOD 동시 개봉에 이를 보이콧하며 결국 메가박스와 일부 극장에서만 상영되는 우여곡절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