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원자력노조, 월성원전 ‘사용 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증설 촉구

원자력노조연대, 사용 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추가 건설 위한 즉각 공론화 착수 및 지지 호소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5.19 15:16:22

19일 오전 11시 경주시청 앞에서 원자력노조연대가 기자회견을 열고 ‘사용 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의 증설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원자력노동조합연대 제공)

원자력노동조합연대가 19일 오전 11시 경북도 경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월성원전 사용 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 추가 건설을 위한 즉각적인 공론화 착수와 시민 지지를 호소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한수원 노조와 구조조정을 한참 겪고 있는 두산중공업노조 등 원자력노동조합연대 7개 단체 위원장들이 참석해 시설 증설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이 자리에서 원자력노조연대는 사용 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맥스터)이 지난 1992년부터 올해까지 29년 동안 안전하게 운영된 시설임을 강조하며 증설해야 하는 필요성을 역설했다.

원자력노조는 “현재 발전소 내 맥스터는 97.6% 포화 상태로 내년 11월이 되면 100%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며 “맥스터를 적기에 증설하지 않으면 내년 11월부터 월성 2~4호기는 사용 후 핵연료 임시보관시설이 없어 무기한 발전소가 멈춰서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발전소 3개가 정지하는 것은 국가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겠지만 지난 2018년도 경주지역 기여도 700억원이 사라져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지역경제를 더욱 힘들게 할 것”이라고 문제제기했다.

특히 일각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해 반박했다. 노조는 “맥스터 추가 증설을 사용 후 핵연료 영구처분시설이 된다는 내용과 국내 타 원전의 사용 후 핵연료를 월성으로 가져올 거라는 말도 안 되는 허위 정보로 시민의 귀를 속이고 있다”며 거짓임을 거듭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맥스터 증설이 사용 후 핵연료 영구처분시설로는 결코 전환될 수 없다. 이는 법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중저준위방폐물 처분시설 유치지역 지원 특별법 8조에 따라 관련시설인 영구처분시설은 경주지역에 건설할 수 없게 돼 있다”고 그 근거를 설명했다.

원자력노조 관계자는 “적기에 맥스터 증설이 이뤄져 월성원전이 안전하고 정상적으로 운전될 수 있도록 경주시민 모두의 지혜를 모아주시길 호소한다”며 “원자력노조연대 1만 3000여 조합원들이 경주시민들에 이번 공론화에서 압도적 찬성을 부탁드리는 바다”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