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5.21 15:59:41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80.6%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가시적인 타격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지역본부가 지난달 말 지역 중소기업 165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중소기업 피해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1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내수 위축으로 인한 매출액 감소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또 지난 3월 매출액은 전년동월대비 최소 10%에서 최대 70%까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기업은 애로사항 가운데 ‘운영자금 부족 및 자금 압박’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컸다고 응답했다.
제조업의 경우 수출 등 계약 물량 취소 22.7%, 수주기회 축소 17.3%, 원자재수급 차질 발생 16.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또 비제조업은 매달 고정비 성격인 ‘상가임대료 부담’ 및 ‘의심직원 휴무에 따른 영업활동 차질’이 각각 8.9%의 비중으로 가장 큰 애로사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외국인 종사자 업무 기피(5.4%) 등이 어려운 점으로 꼽혔다.
이들 중소기업에 가장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중소기업 소득세, 법인세율 인하’라고 응답한 기업이 7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유지지원금 상향지원 확대 48.5%, 특별고용지원업종 확대 40.6%, 기업회생·구조조정 등 재기 지원 위한 금융지원 강화 29.7%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지역 중소기업은 코로나19 피해기업 대상 정부 경영안정자금 지원신청에서 ‘보증한도 부족으로 인한 신규대출 불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고 41.5%가 응답했다. 이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이어 ‘금융기관에서 요구하는 서류가 각각 달라 복잡함’ 38.4%,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인력 부족과 온라인·현장 상담 제한’ 36.6%, ‘상담 후 대출 가능 여부와 대출 시행 시기 불명확’ 14.6% 순으로 응답했다.
김기훈 중기중앙회 부산본부장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부산지역 중소기업이 매출액 감소, 운영자금 부족 등 심각한 피해를 겪고 있다”며 “중소기업계 애로사항에 대한 세밀한 지원으로 현장에서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정부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