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만공사(이하 UPA)는 2020년 4월 울산항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총 1675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4%(71만톤↑)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액체화물은 1397만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7.4%(97만톤↑) 증가했다. 전체 물동량 중 액체화물 비중 83.4%로, 원유는 644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523만톤) 대비 23.1%(121만톤↑) 증가했다. 석유 정제품은 522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429만톤) 대비 21.5%(93만톤↑) 증가했으며, 화학공업생산품은 154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288만톤) 대비 46.4%(134만톤↓) 감소했다.
이는 저유가 선물 계약 물량 입고 등 원유 수입량이 증가했으나, 화학제품 수출 단가 하락, 주요 수출국 내 설비 증설에 따른 케미칼 품목 물동량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일반화물은 278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304만톤) 대비 8.5%(26만톤↓) 감소했다. 차량 및 그부품은 87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129만톤) 대비 32.4%(42만톤↓) 감소했으며, 방직용섬유는 21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16만톤) 대비 32.8%(5만톤↑) 증가, 철강 및 그제품은 21만톤을 처리해 전년 동월(15만톤) 대비 39.2%(6만톤↑) 증가했다.
주요 수출국 내 봉쇄령 및 영업점 휴점 영향으로 자동차 품목 수출 감소,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로 제조업 침체 영향으로 일반화물 물동량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컨테이너는 41,806TEU를 처리해 전년 동월(44,438TEU) 대비 5.9%(2,632TEU↓) 감소했다. 적 컨테이너는 23,670TEU를 처리해 전년 동월(25,835TEU) 대비 8.4%(2,165TEU↓) 감소, 공 컨테이너는 18,136TEU를 처리해 전년 동월(18,603TEU) 대비 2.5%(467TEU↓) 감소했다.
UPA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액체화물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총 물동량이 전년대비 증가했지만,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라며 “5월부터는 원유·석유제품 보관시설 포화로 원유 수입이 제한적이고, 자동차 화물 수출 감소가 예상되는 등 본격적으로 코로나19 영향을 받아 물동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