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울산시-울산과기원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사업 확정

대통령-시장 공약 이행, 2024년까지 450억원 투입 … ‘센터’ 건립 등 추진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0.06.04 16:41:30

울산시는 시와 울산과학기술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공모한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주관하는 울산과학기술원은 올해 6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5년간 총 사업비 450억원(국비 245억원, 시비 155억원, 민간 50억원)을 투입해 △3디(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건립, △양산공정 자동화 시스템․디지털 팩토리 구축, △융합기술 실증화 표준 체계 구축, △양산공정 실증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센터는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 내 울산과학기술원 산학융합캠퍼스 부지(5,051㎡)에 지하 1층, 지상 3층에 연면적 5,440㎡ 정도의 규모로 건축되며 오는 2022년 말에 준공이 목표다.

해당 지역은 국내 주력산업 단지가 인접한 국내 최대의 수요 요충지이자 주력산업을 고도화하고 융합기술을 육성하는 데 시너지 효과 창출이 가능한 국내 최대 규모의 3D프린팅 특화 집적지역이다.

현재 차세대 조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 연구센터가 운영 중에 있고,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와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센터가 각각 올해 10월과 2021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또 3D프린팅 관련 대학교와 3D프린팅 해외우수기관, 3D프린팅 관련 기업 등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울산과학기술원은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와 울산과학기술원 인공지능(AI) 대학원, AI 혁신 파크를 연계해 3D프린팅과 인공지능 기술 융합을 통한 산업별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 팩토리와 3D프린팅에 기반한 제조업의 첨단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구축 사업은 산업용 핵심부품의 3D프린팅 양산공정 실증 플랫폼․3D프린팅 융합기술 실증 표준화 체계 구축, 3D프린팅 산업용 핵심부품의 사업화․실용화를 통한 주력산업의 전 방위적 제조혁신으로 확산한다.

시 관계자는 “이러한 최적의 입지 조건에서 3D프린팅 산업과 주력 제조 산업의 협업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고, 산-학-연이 연계된 ‘국내 최대 3D프린팅 허브도시’를 완성하고 국내 3D프린팅 산업을 선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울산 3D프린팅 산업을 2015년 12월 지역전략산업에 선정하고 2017년 7월 3D프린팅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지역공약에 반영해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산업으로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