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국토부)와 한국감정원이 부산시 사하구 괴정동 일대에서 부산지역 첫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지난 10일 준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은 2명 이상의 주택 소유자가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스스로 주택을 개량하거나 신축하는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이다.
이는 지난 2018년 첫 도입된 이후 구도심 등에 산재한 노후 저층 주거지를 정비하기 위한 주요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사업은 주거지 재생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꼽히고 있다.
이 사업을 시행하려는 주민합의체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한 저리 융자와 감정원 통합지원센터를 통한 사업성 분석비용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해당 융자는 총사업비의 50~90%, 연 1.2~1.5%의 금리로 5~10년간 지원한다.
이번에 사하구 괴정동에 준공한 이 건물은 주거지 지원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괴정동 사업지에 인접한 노후 단독주택 소유자 2명이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12호 다세대주택을 신축한 것이다.
사업은 3개 필지를 합하는 방식으로 1개동을 건축하게 됐으며 대지면적 337㎡, 연면적 553.7㎡의 12호 다세대주택을 지난해 11월 착공해 이달 준공했다.
지난해 5월 주민합의체가 구성된 이래 1년여 만에 사업이 끝났으며 이 과정에서 HUG는 총사업비 13억 5000만원의 70% 수준인 9억 4000만원을 연 1.5% 저리 융자로 지원했다.
또 감정원은 사업성 분석비용을 지원했으며 사업시행 인가, 이주, 준공 등에 대한 행정절차를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했다.
LH는 인근 공공임대주택 수요 충족과 민간 미분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신축된 다세대주택 전량을 매입하는 약정을 체결했다. 이에 신축된 다세대주택 12호는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될 전망이다.
국토부 이지혜 주거재생과장은 “노후 주거지의 재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노후 주택을 정비하는 이번 자율주택정비사업이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사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자율주택정비를 통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지 재생을 지속 실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