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북한이 평화 제스처의 대가를 요구한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미래통합당 김은혜 대변인은 13일 논평을 통해 “김여정 부부장에게서 시작한 대한민국 때리기 릴레이가 당 중앙위 부위원장 장금철 노동당 중앙위 통일전선부장에 이어 오수봉 옥류관 주방장으로까지 바통이 넘겨졌다”며 “‘옥류관 냉면을 먹을 때는 큰일이나 칠 것처럼 요사를 떨고 돌아서서는 지금까지 전혀 할 일이 없다’고 대통령을 직격한 듯한 조롱이 이어졌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한반도의 말 폭탄이 밤새 안녕”이라며 “대북전단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비웃기라도 하듯 ‘신뢰는 산산조각이 났다’며 ‘비핵화 0소리’ ‘이제부터 후회스럽고 괴로울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2018년 싱가포르의 약속도 물거품이 되어가고 있다”며 “‘미국의 군사적 위협을 관리하기 위해 확실한 힘을 키울 것’이라고 엄포를 놓은 북한은 2년간 미국에 대화의 손을 내밀면서 뒤로 34차례나 탄도미사일, 방사포 도발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대북전단이 최종 목표지점이 아니다. 3년 전으로 되돌아 간 안보시계, 북한은 ‘평화 제스쳐’의 대가를 요구한다”며 “평화를 내세운 냉면도 공짜가 아니었다. ‘제재든 국제사회 시선이든 관계없이 대한민국은 냉면값을 지불하라’는 속셈이 내재돼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4.27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조건이던 북한 비핵화는 먼 얘기가 되어가고 있다. 신기루를 붙잡으려 북한에 끌려다니다 국민들의 자존심은 저만치 떠밀려간 상태”라며 “정부는 더 이상 상대가 산산조각 낸 신뢰를 억지로 끼어 붙이려는 비굴함이나 우리 국민을 상대로 한 겁박으로 응대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낙관으로는 적의를 대적할 수 없다”며 “평화의 기대에 잠기게 했던 냉면의 기억이 더 비루한 추억이 되기 전에 정부가 꿈꿔온 한반도 평화구상은 냉철한 접근과 국제사회 공조로 현실로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