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21일 시청에서 울산대 등 4개 기관과 컨소시험을 구성해 ‘메가와트(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개발’ 국책과제 착수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울산시와 국내외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전문기업 및 기관인 울산대학교, 현대스틸산업, 유니슨, 동서발전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한다.
이날 회의 내용은 1차년도 개발목표인 부유식 해상풍력 설계기준 연구, 상용화 풍력단지(예정)에 적합한 최적 부유체 개념 제시와 실증 후보지 발굴, 2단계 상세사업계획서 작성 등을 위한 기관별 계획과 향후 추진방안을 논의한다.
MW급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개발 과제는 터빈-부유체-계류시스템 통합 하중해석과 축소모델 수조시험 등을 통해 최적의 실증용 터빈을 적용한 5MW급 부유체를 제작하고 해상에 실증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통해 시는 세계최고의 조선해양기술과 핵심적인 풍력기반기술들을 개발, 접목해 저비용부유체, 계류시스템, 그리고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진단시스템 기술들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 5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공모 과제 1단계에 선정된 이 사업은 울산대학교 주관으로 2021년 1월까지 국비 4억7000만원이 투입된다.
이번 과제가 총 2단계(1단계 2020년 5월~2021년 1월, 2단계 2021년 2월~2025년 4월)로 나눠 시행된다.
울산시는 이에 따라 이번 착수 회의를 계기로 정기적 과제회의를 통해 과제의 완성도를 높여 2단계 사업(정부출연금 270억원)에도 수행기관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이 지난 7월 14일 발표된 정부의 한국판 그린뉴딜 사업에도 포함돼 관심과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며 “울산의 경우 민선7기 공약사업으로 지난해부터 5개 민간투자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선두적인 울산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