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도시림 규모가 전국 특・광역시 중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울산시는 산림청(청장 박종호)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의 도시림 현황을 시․도별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이 통계는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산림 및 녹지면적 현황을 2년마다 조사해 관련계획 수립 및 정책・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작성한다.
도시림은 산림자원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면 지역과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구역을 제외한 산림과 수목을 대상으로 하고,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공원・녹지가 포함된다.
통계에 따르면 울산은 도시지역 면적 대비 도시림 면적을 의미하는 도시림(36,335ha) 면적률은 전국 평균(46.44%)보다 높은 59.14%로 강원도(74.72%)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도시민의 다양한 활동 장소로 활용되고 도시 미기후(소기후보다 더 작은 범위 대기 물리적 상태) 조절 등 환경적 기능이 높은 생활권 도시림 면적(2,090ha)은 울산 전체 도시림 면적(36,335ha)의 5.7%에 불과해 아직 미미한 수준으로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울산 시민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생활권도시림면적(ha)/도시지역인구, ‘천명’)은 19.12㎡/인으로, 지난 2017년( 17.87㎡/인) 보다 7% 증가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 9.00㎡/인, 전국평균 11.51㎡/인, 광역시 평균 12.17㎡/인 보다 훨씬 웃돈다. 또한 울산시민 1인당 생활권 도시림은 전국 평균치의 1.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는 도시숲과 가로수 등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생활권내 녹지를 확대하고 다양한 도시녹화사업을 추진한 성과이다"며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 조성과 도시바람길숲 조성 등 10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생활권도시림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