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미기자 |
2021.03.05 10:13:03
산학연 협력의 대표모델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 지역 혁신기관들이 머리를 맞댔다.
대구시, 경북도, 경북대, 대구대, 대구·경북 교육청,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창조경제혁신센터, 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 13개 기관은 4일 경북도에서 올해 교육부 공모사업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 협약은 지역의 기업체와 혁신기관들로 구성된 지역협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사업을 통한 지역혁신플랫폼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각 기관의 역량을 결집하는 데 뜻을 함께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
교육부 공모사업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은 대학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혁신을 유도하는 것으로, 5년간 약 3430억원을 투입해 지역과 대학이 함께 미래 인재양성, 지역산업혁신, 일자리 창출을 이끄는 마중물이 되는 사업이다.
도는 이 사업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지역대학 총장과 간담회를 개최했고, 올 1월 초에는 대학별 기획처장과 산학협력단장을 대상으로 사업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을 설명해 대학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여러 차례 대학과 소통하며 육성할 핵심 산업분야를 도출했다.
도는 대학의 의견을 반영해 대구시와 공동으로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고 교육부 공모사업에 신청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통해 코로나 시대 이후 변화된 산업구조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디지털 혁신경제를 선도하고 친환경 저탄소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실리콘밸리와 같은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에는 그 중심에 반드시 대학이 있고, 지역과 함께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대학, 기업, 연구기관이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혁신자원을 공유한다면, 지금의 위기는 혁신과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9일까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신청 의향서를 접수받고, 다음달 16일까지 최종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5월 중 평가를 통해 전국 1개 플랫폼을 선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