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도내 양돈농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5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국 17건 중 경북지역이 6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특히 영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돼지유행성설사병은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PED virus가 원인체다. 국내에서는 1992년 처음 발생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현재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주로 1주령 미만의 포유자돈에서 구토, 심한 수양성설사로 인해 탈수증으로 폐사하게 되며, 전염성이 매우 높아 양돈농가의 경제적 피해가 큰 질병이다. 이는 축사 위생관리가 어려운 동절기(11월~4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올해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겨울철 PED 유행대비 모돈 항체를 조사한 결과 경북지역의 경우 방어항체 보유율이 20.8%로 전국평균 37.8%에 비해 낮게 조사됐다.
김영환 경북도동물위생시험소장은 “최근 2월말부터 돼지유행성설사병 의심 신고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PED 진단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지역적 유행에 대비해 백신접종강화 및 농장간 전파 방지를 위한 출입차량, 입식가축 등 농장 방역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