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북도, 인구감소 심각...위기대응책 절실

인구감소지역 16개 시ㆍ군 지정

  •  

cnbnews 이경미기자 |  2021.10.19 10:34:38

경북 인구감소지역. (사진=경북도 제공)

경북지역 16개 시ㆍ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됐다.

행정안전부는 관련 법령에 따라 인구감소지역 지정 및 지원 등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19일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지정ㆍ고시했다. 그중 경북과 전남이 16개 지역으로 가장 많다.

이번 행안부에서 지정된 인구감소지역은 자연적・사회적 인구지표가 종합적으로 포함된 인구감소지수를 반영했으며, 향후 정부 및 지자체 인구활력 정책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인구감소지수는 연평균인구증감률, 인구밀도, 청년순이동률, 주간인구, 고령화비율, 유소년비율, 조출생률, 재정자립도 등 8개 지표를 고려해 최종적으로 산정했다.

경북도는 대구시와 분리된 1981년 319만 명이나 되던 인구 수가 지난해 말에는 264만 명으로 무려 55만 명이나 감소했다.

지난 한 해에만 경북도 인구는 2만6000여 명이 감소했다.

지난 10년간 청년 인구가 17만 명 감소(5.8%감소), 고령인구는 반대로 17만 명 정도 증가(6.7%증가)했다.

그동안 도는 지방소멸위기 대응을 위해 의성군 안계면 일원에 2019년부터 청년일자리 및 주거확충, 커뮤니티 활성화 및 환경개선, 육아·교육·의료시설 확충 사업을 추진해 청년이 찾아드는 이웃사촌 마을을 조성했다.

또한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위기에 대응 국가차원의 법적 제도화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해 2019년부터 전남도와 공동으로 ‘지방소멸위기지역 지원 특별법’제정을 추진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정부의 인구감소지역 지정과 더불어 지역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행・재정적 지원책이 마련되기를 바란다”며 “도는 인구감소, 고령화, 인구감소, 지방소멸의 인구구조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지역 맞춤형 지방소멸대응 정책 발굴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