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킴벌는 자사 브랜드 하기스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객 서비스를 론칭했다고 22일 밝혔다.
‘하기스 AI 피팅룸’으로 명명된 해당 서비스는 아이에게 꼭 맞는 기저귀 사이즈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제시해 주는 서비스로 맘큐 앱을 통해 제공된다.
유한킴벌리에 따르면, 국내에 기저귀가 본격 도입된 지 4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기저귀 사이즈는 모든 부모들의 고민거리다. 기저귀는 딱 맞으면 마찰 등으로 피부에 자극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헐거우면 소변이 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한킴벌리는 하기스가 찾은 솔루션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라고 설명했다. 하기스는 축적된 아기 체형 정보와 사이즈 만족도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기저귀를 입은 아이 사진 50만장을 학습하도록 했고, 소비자 조사를 통해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검증한 후 서비스를 론칭했다.
유한킴벌리 하기스 담당자는 “AI 피팅룸 서비스는 개발과 유지에 상당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지만,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과 기업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모델이다”며 “수입품의 범람 속에서 국내 소비자에 특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