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가 그동안 청년층과 노년층 사이에서 정책적 지원에서 소외됐던 이른바 ‘끼인세대(35~54세)’의 설움을 덜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부산시의회는 12일 제325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2025년도 예산안을 의결하며 ‘부산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 예산을 당초 시가 제출한 5억 4천만 원에서 2억 원 증액한 7억 4천만 원으로 확정했다. 이번 예산 증액으로 경력단절 여성과 재취업을 희망하는 중년 구직자들이 더 많은 정규직 일자리를 찾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은 지난해 김태효 의원(국민의힘·반여2·3동·재송1·2동)이 발의한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를 근거로 올해 처음 시행됐다. 이 사업은 부산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층 구직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에 대해 1인당 최대 456만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내용으로, 시행 첫해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올해 4월, 100명 규모로 참여 기업을 모집한 결과, 120개 기업이 신청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고, 7월에는 조기 채용이 완료됐다. 11월 기준, 67개 기업에서 97명이 정규직으로 근무를 이어가고 있어 사업의 효과성이 입증됐다는 평가다.
부산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부산 일자리 종합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산의 40~50대는 정규직 일자리가 줄고 비정규직 일자리가 증가하며 고용 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부터 2023년까지 40~50대의 산업별 종사자 수는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감소한 반면, 건설업에서는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는 제조업 정규직 감소와 건설업 비정규직 증가가 두드러지며 해당 연령대가 고용 불안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태는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의 취지와 정확히 맞아떨어져, 사업 확대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끼인세대 지원에 의정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김태효 의원은 “끼인세대 고용의 질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것이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올해 이 계층을 위한 좋은 일자리 창출에 4050 채용 촉진 지원사업이 좋은 성과를 보여 내년 예산을 증액해 사업을 확대키로 했다”면서 “좋은 사업,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는 사업에 대해서는 예산을 증액해 힘을 실어 주고, 보여주기식 사업, 시급성이 떨어지는 사업에 대해서는 제동을 건다는 의회 예산심사기능의 근본 취지에 충실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시는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마치고 고용 외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도 지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4개년 종합계획 수립을 준비 중이다. 이번 예산 증액으로 끼인세대 지원에 대한 부산시의회의 의지가 확인된 만큼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