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이 지난 12일 ‘부산시 기술거래 수요기업의 기술사업화 영향 요인과 정책 수요 특성’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전했다. 이번 보고서는 부산시 기술거래 수요기업의 기술거래 실태와 영향 요인, 기술사업화 정책 수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정책 개선과 지역 기술거래 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을 담았다.
특히, 최근 5년간(2019~2023년) 기술거래를 통한 기술사업화 경험이 있는 부산시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응답결과(74개 기업)를 중요도-만족도(IPA) 분석해 지역 기술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부산시 기술거래 수요기업은 △기술가치평가 단계의 ‘기술가치평가 비용 지원’을, △기술거래 사후관리 단계의 ‘거래기술 양산화 기술개발 지원’, ‘기술사업화 제품의 시장 진입 지원’을 정책 우선순위 영역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술거래 지원사업 참여 집단별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실제 수혜기업(지원사업 참여기업)은 기술거래 사후관리 단계에 대한 수요가 높았지만 잠재 수혜기업(지원사업 비참여 기업)은 기술가치평가 단계에 대한 지원 수요가 더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BISTEP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의 주요 기술사업화 정책수요자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거래 단계별 맞춤형 정책을 지원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기술거래 지원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혜기업의 우수한 기술사업화 성과를 고도화하기 위해, 비R&D 기업지원(투자 연계, 기술 마케팅, 수출 지원)과 연계한 기술거래 이후 단계의 후속 지원 강화를 제안했다. 또한, 더 많은 잠재적 수혜기업이 기술거래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가치평가 지원 등 시장 진입 장벽을 완화하는 정책 지원도 강조했다.
BISTEP 류수민 연구원은 “부산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책수요자인 중소기업 중심의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해 민간 주도의 기술거래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우수한 연구 성과가 효과적으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시장 진입을 위한 후속 R&D 지원과 비 R&D 지원의 연계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보고서 전문은 「산업&혁신 브리프」 10호로 발간됐으며, BISTEP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