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으로 지역 항공산업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부산시민단체들이 지역 독자 항공사 설립을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
6일 오전 10시,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등 시민단체들은 "부산이 주체가 되는 신생항공사 '부산에어'(가칭)를 설립해 가덕신공항을 남부권 물류허브로 성공적으로 안착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저비용항공사(LCC) 통합 본사가 인천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에어부산, 에어서울, 진에어의 통합 논의가 완료되기 전까지 부산시는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는 가덕신공항이 24시간 운항 가능한 물류복합공항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지역의 항공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대한항공의 통합 항공정책에 따라 에어부산의 노선이 축소되고, 중장거리 노선조차 인천 중심으로 재편된다면 지역 항공산업은 고사 상태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부산시민은 대한항공의 지배력에 종속되지 않을 것"이라며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대한항공 불매운동과 함께 부산 독자 항공사 설립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한 "부산은 에어부산을 설립해 성공적으로 운영한 경험이 있으며, 가덕신공항 개항이라는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부산시의 행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부산에어' 설립은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단체는 신생항공사 '부산에어'가 설립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부산에어가 가덕신공항을 모항으로 24시간 운항하며 중장거리 노선까지 확보한다면, 이용객들에게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부산의 백년 미래를 열어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끝으로 "가덕신공항의 운명을 대한항공에 맡길 수 없다"며 "부산시민 330만 명의 힘으로 '부산에어'를 설립해 지역 경제와 항공산업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결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