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가 12일 지역 매출액 상위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기업의 사업구조 개편 추진 실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1%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업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실제 추진 중인 기업은 12.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사업구조 개편을 계획하고 있거나 향후 추진을 검토하는 기업이 절반에 달해, 적절한 지원책이 마련된다면 추진 기업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구조 개편을 추진하거나 검토하는 이유로는 ‘기술 개발에 따른 신사업 추진’이 29.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영위 업종의 경쟁력 약화’(28.1%), ‘새로운 수익원 창출’(23.2%), ‘기존 제품·서비스의 시장 쇠퇴기 진입’(11.4%)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추진 중이거나 검토 중인 사업구조 개편 형태로는 ‘기존 업종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업종 및 품목을 추가하는 방식’이 88.1%를 차지해, 기업들이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자금 부담과 매출 부진 등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뚜렷했다.
그러나 사업구조 개편 추진에 있어서 기업들은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자금 조달 곤란’이 27.8%로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됐으며, 이어 ‘신규 거래처 및 판로 미확보’(25.7%), ‘인력 수급 곤란’(14.3%), ‘신사업 관련 정보 및 기술 부족’(14.3%), ‘산업단지 내 업종 제한 규제로 인한 업종 전환 어려움’(8.2%) 등의 순이었다.
특히, 사업구조 개편을 지원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자금·세제 및 R&D 지원 제도에 대해 80% 이상의 기업이 알지 못한다고 응답해, 지원 제도의 인지도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사업 전환 또는 사업 재편을 추진하는 기업이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업구조 개편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는 ‘정책자금 지원’이 26.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신사업 분야 정보 제공’(18.1%), ‘R&D 지원’(17.0%), ‘융자 및 세제 지원’(12.5%), ‘거래처 발굴 지원’(11.2%) 등의 순이었다.
부산상의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지역 제조업체들이 부가가치를 높이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이어진 고강도 관세 정책 등 급변하는 글로벌 경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업구조 개편이 필수적”이라며 “기업들의 사업 재편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 자금 지원과 R&D 역량 강화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