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북극항로 상용화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운영 중인 ‘부산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의 제2차 회의를 개최하며, 본격적인 정책 개발과 중장기 전략 수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회의는 지난 22일 부산시청 12층 소회의실에서 열렸으며, 선사·학계·연구기관·공공기관 등 각계 전문가 21명으로 구성된 전담조직 위원들이 참석해 자유토론 형식으로 진행됐다.
시는 이날 회의에서 ‘북극항로 허브도시 부산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정책 제언과 실행 전략을 모색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2월 열린 TF 첫 회의에서 시급한 과제로 제시된 바 있으며, 시는 올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에 2억 원을 반영해 연구를 본격 추진하게 됐다.
용역은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정성문 교수)이 맡아 ▲부산의 북극항로 거점도시로서의 가능성 분석 ▲부산항 물동량 수요예측 ▲관련 정책 방향 및 전략과제 발굴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 교수의 과업 개요 및 수행 계획 발표에 이어, 위원들의 심도 깊은 자문과 의견이 이어졌다. 특히 북극해 항로 운항 경험이 있는 선사로부터 실질적인 운영 가능성에 대한 의견도 공유되며, 향후 구체적 추진 전략을 설계하는 데 의미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는 평가다.
부산시는 이번 용역과 더불어 ▲부산항 친환경 복합에너지터미널 조성 ▲극지전문인력 양성 ▲북극항로 사령탑 역할을 수행할 전담 조직 설립 등을 정부에 지속 건의하고 있다. 특히 북극항로 진흥원과 위원회 설립 등을 통해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기후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북극항로는 새로운 전략 항로로 주목받고 있다”며 “부산이 주도적으로 대응해 신해양산업과 글로벌 물류, 기후 데이터 기술 등 미래 신성장 산업의 중심 도시로 도약할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어 “TF 회의와 연구용역을 통해 실현 가능한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부산의 해양경제 영토를 확장하는 구체적 전략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