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기자 |
2025.07.23 17:18:19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23일 하동군 집중호우 피해 현장을 방문해 덕천강 범람과 관련한 항구적인 대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주부터 이어진 도내 수해지역 현장 점검으로, 이날 박 지사는 하동군 옥종면 병천리 일대의 제방 붕괴 지점과 딸기 육묘 하우스 피해지를 잇따라 찾았다.
박 지사가 방문한 호계천 제방 붕괴 현장은, 옥종면에 내린 646mm의 집중호우와 상류 산청지역에서 유입된 유량이 겹치며 덕천강 수위가 급격히 상승해 제방 약 200m가 유실된 곳이다. 이로 인해 농경지 16ha, 비닐하우스 50동, 주택 2동이 침수됐다.
현재 현장에는 굴삭기 4대가 투입돼 모래마대를 이용한 응급복구가 진행 중이며, 경남도는 제방 보강을 포함한 항구복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박 지사는 “이번과 같은 수해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덕천강과 호계천의 준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박 지사는 딸기 육묘 하우스 침수 피해 농가 2곳도 방문했다. 이번 집중호우로 해당 농가가 운영하는 하우스 9동(0.8ha)이 침수되고, 약 18만 주의 딸기 육묘가 피해를 입었다. 해당 농가는 현재 모종을 키우는 중요한 단계로, 보험 적용 대상이 아니고 단가도 높아 피해 부담이 큰 상황이다.
박 지사는 현장을 둘러본 뒤 “딸기 모종 피해는 보상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인 만큼, 중앙부처에 지원을 건의하고 추가 조사에 따른 도 차원의 예비비 지원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하우스 시설 피해와 농작물 피해를 구분 조사해 도와 정부가 각각 지원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날 현장에서는 옥종·청암·화개·악양·적량 등 5개 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요청이 있었으며, 이에 박 지사는 “도에서 검토해 중앙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박 지사는 장기 대피 세대 등 이재민에 대한 대책도 조속히 수립하라고 관계 부서에 지시했다.
이날 박 지사는 하동군 일정을 마친 뒤, 지난 봄 대형 산불 피해를 입었던 산청군 시천면 상지마을 등 산청지역도 찾았다. 현장에서 박 지사는 “주민들의 고통을 덜 수 있도록 도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남도는 피해조사와 응급복구, 대민지원 등 종합적인 대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시군과 함께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입력을 추진 중이며, 피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구호비 지원과 복구계획 수립 등 후속 조치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공공시설 피해 966개소 중 507개소(52.5%)에 대해 응급복구를 완료했으며, 도로는 91.8% 복구율을 보이며 통행 불편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응급복구에는 8946여 명의 인력(공무원, 주민, 봉사단체 등)과 2354여 대의 장비가 투입됐으며, 군부대(1159명)·소방(2465명)·경찰(1375명) 등 유관기관과의 민·관·군·경 합동체계를 통해 복구 작업을 신속히 추진 중이다.
정전, 단수, 통신 등 생활 불편 해소도 병행되고 있다. 정전 피해는 99% 이상 복구됐고, 단수 지역에는 급수차 24대를 동원해 긴급 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통신은 주요 통신국사 8개소(3개 군) 장애가 모두 복구됐으며, 이동통신 중계기 1543개소 중 1471개소(95.3%)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