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경기에서 무사 1루와 1사 2루 상황 중 언제가 득점 확률이 높을까?
아웃카운트가 하나 늘더라도 주자를 진루시키는 희생번트 작전을 생각해보면 당연히 1사 2루가 높을 것 같다.
하지만 경제학자 이영훈이 미국 메이저리그의 4만개가 넘는 케이스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무사 1루에서 득점 확률은 44.2퍼센트인 반면 1사 2루에서 득점 확률은 41.5퍼센트였다고 한다.
일본 프로야구도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2005년 시즌 기록에 따르면, 무사 1루에서 평균 득점은 0.84점인 반면 1사 2루에서는 0.75점이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왜 감독들은 별 효과도 없는 희생번트 작전을 구사할까? 이에 대해 박동희 야구전문 기자가 재미있는 해석을 내놓는다.
“무사 1루나 무사 1, 2루에 희생번트를 대지 않고 강공을 펼쳐 병살이 됐을 경우, 감독의 ‘작전 실패’ 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이에 반해 번트를 실패 했을 경우는 감독이 아니라 선수의 책임이 된다. 번트가 성공해 1사 2루가 된 뒤 후속타가 이어지지 않아도 역시 선수에게 비난이 쏠린다. 희생번트는 안정적인 득점원이 아니라 감독직 유지에 안정적 역할을 해주는 면피용 작전이다.”
이번에는 축구장으로 가보자. 페널티킥 상황에서 골키퍼에게 공이 날아올 확률은 왼쪽, 중앙, 오른쪽이 각각 1/3이다.
그러나 골키퍼는 왼쪽이나 오른쪽 중 한 쪽을 선택하여 크게 넘어져 1/2로 골 먹을 가능성을 높인다. 가만히 서 있다가 들을 비난이 두려워 현명하지 못한 선택을 하는 것.
일부 남미 국가에서는 골을 먹은 골키퍼에게 총질까지 해대니 이해가 안 가는 행동은 아니다. 이러한 상황을 심리학에서 행동편향(Action Bias)으로 설명한다.
예전에 한 식품회사에서 목격한 일이다. 꼼꼼한 관리능력으로 인정 받아온 팀장이 새 부서를 맡게 되었다. 전임자가 회사 제품을 베트남에 성공적으로 진출시켜 현지 사장으로 승진하여 옮겨간 후임 자리였다.
회사에서 팀장에게 기대한 역할은 베트남 사업의 안정적인 지원이었다. 하지만 전임자의 포상과 승진을 본 팀장은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본인의 주특기와는 다르게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몇 나라 진출을 동시다발적으로 벌렸다. ‘Go Global’이라는 멋진 구호와 함께. 하지만 이러한 그의 행동편향은 본인의 퇴직만 앞당기는 결과를 가져왔다.
4월 총선이 끝나면 많은 신진 인사들이 국회로 들어올 것이다. 의욕에 넘쳐 전직 국회의원들이 시작한 일을 마무리 짓기보다는 새로운 일을 벌려 스포트라이트를 받길 원할 것이다.
이때도 행동편향이 아닌지 엄격한 자기검열을 기대해본다. 하긴 19대 국회서 원체 한 일들이 없으니 쓸데없는 기우(杞憂)일 수도 있겠다.
* [정세현의 튀는 경제]는 매월 1회 연재됩니다
■ 정세현
현 티볼리컴퍼니(Tivoli Company) 대표, ㈜한우리열린교육 감사
전 삼일PwC Advisory 컨설턴트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영국 Nottingham Trent University M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