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동아대 이진환 교수, 국제학술지 ‘Food Chemistry’에 논문 게재

생명자원 콩에 존재하는 기능성물질 극대화 위한 바이오전환기술 규명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0.10.23 11:44:46

생명자원산업학과 이진환 교수와 ‘Food Chemistry’. (사진=동아대 제공)

동아대학교는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자원산업학과 이진환 교수의 논문이 기능성물질 관련 식품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Food Chemistry’에 게재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교수는 지난 2월과 7월에도 ‘Food Chemistry’에 교신저자로 2편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Food Chemistry’는 영국 엘스비어(ELSEVIER SCI LTD)에서 발행하는 것으로 JCR(Journal Citation Reports) 식품과학 분야 최상위(식품화학 1위, 2019년 JCR농업‧식품분야 세계 인용논문 1위: ESI total citations 1/362)에 해당하는 권위 있는 학술지다.

온라인에 먼저 공개된 이 교수의 논문은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성식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명자원 콩을 미생물 발효의 생물전환기법을 통해 기능성물질 함량과 소화효소 저해, 항산화 효능 증대를 위한 최적 조건을 규명, 건강식품과 메디푸드 소재 개발에 산업화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밝힌 내용이다.

이 교수 연구팀은 콩 발효기법을 적용, 기능성물질인 이소플라본 유도체(isoflavone aglycone), 가바(GABA), 공액리놀레산(CLA) 함량 증대의 최적조건을 규명했다.

또 이들의 추출물이 탄수화물분해효소(α-amylase, α-glucosidase)와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를 2배에서 많게는 10배 가까이 탁월하게 저해시켜 혈당조절용과 당뇨병 질환의 기능성식품과 메디푸드 개발 산업화에 중요한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항산화 효능 검증에서도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유용한 작물 중 하나인 콩에서 새로운 사실을 발견, 앞으로 다양한 연구분야(Functional food, nutraceutical&Pharmaceutical source)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조건 확보를 통해 앞으로 만성질환 예방과 의약 소재 개발 측면에서 생명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메디푸드 산업화에 많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바이오전환 융합 기법으로 다양한 생명자원에 접목하는 등 기능성 유용물질과 생리활성 효능이 증가된 신소재 개발에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