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최규하의 공문(工文)산책] ‘이태원 참사’를 바라보며…과학기술이 가져야 할 책무들

  •  

cnbnews 최규하기자 |  2022.11.14 10:04:33

과학기술의 원리나 지식에 인문학을 접목해 인본주의적 과학기술을 창출해 나가자는 주장인 ‘공문(工文)’이 한국사회에 처음으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꽃다운 젊은이 157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가 과학적·인문학적 시스템의 부재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공문’의 필요성이 더 절실해진 상황이다. 이에 CNB뉴스는 공문의 창시자인 최규하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석좌교수의 칼럼을 최초 연재한다. 최 교수에 따르면, 공문은 ‘인간에 의해 기술이 그리는 무늬’로 정의된다. 최 교수는 “인간에 의한 ‘기술의 동선’이 공문”이라며 과학기술계의 동참을 요청하고 있다. <편집자주>


 


 

 최규하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석좌교수.

철학자 베르그송은 인간을 호모 파베르(Homo Faber)라 하면서 도구를 사용하고 제작할 줄 아는 인간의 본질을 강조하였다. 원시시대 인간의 주된 도구는 돌멩이와 나뭇가지였다. 그후 마제석기로 달라지면서 청동기나 철기로 더 강력하고 정교한 도구로 급속히 발전되었다.

150W에 불과한 힘을 가진 인간이 들짐승을 길들여 750W의 힘을 갖는 가축을 도구화한 것은 실로 큰 사건이었다. 가축을 이용하여 수확의 증대는 물론 먼거리 이동까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기술이 과학의 도움을 받아 축적에 축적을 거듭하면서 정교해진 도구들로 원자핵, 인공위성, 스마트 폰, 인공지능 등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그 끝을 예측하기 힘들 만큼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은 우리 생활 속으로 깊숙이 파고들어 그 성과물인 첨단화된 도구들은 이제 우리 신체의 일부로 여겨질 정도이다.

하지만 한 나라 안에서도 빈부의 격차로 인해 과학기술의 혜택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니 이제 과학기술에는 ‘따듯함’을 추가해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의 수혜지대에 살지만 어려운 형편에 놓인 이들을 위한 ‘배려의 과학기술’ 개발도 주력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근래에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게 바로 지구 환경의 악화이다. 토양, 대기나 수질 등의 환경오염 등을 해결하고자 여러 나라들이 모여 탄소중립, 메탄가스 억제, 신재생에너지 사용 등의 대책을 내놓기 바쁘지만, 여전히 온난화는 가속되고 있다.

한번 편의의 늪 속에 푹 빠져버린 인간들은 데워지는 냄비 속 개구리와 같은 형상이다. 더구나 빙하의 해빙으로 해수면 상승은 물론 심지어 고대 바이러스의 재창궐까지 우려하고 있다. 돌이켜 보건대 증기기관을 필두로 한 제1차 산업혁명의 시작을 인류 복지를 향한 출발이라기보다 인류 멸망이 시작된 첫발이라고 말한다면 과할까.

화석연료를 이용한 과학기술의 발전이 바로 우리 삶의 유일한 터전인 지구의 환경마저 극도로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늘 가정을 전제하여 이론을 전개해 나간 과학 특히 기술이 갖는 원죄였다. 이제부터라도 과학기술로 야기된 문제들을 과학기술로 해법을 찾는 데 주력해야 한다. 바로 ‘과학기술의 청정함’을 위해서 말이다. 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이다.

 

지난 11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 인근 추모 공간에 시민들이 두고 간 빼빼로과자들이 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과학기술은 인류복지에 쓰여야…법·제도 정비 시급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하기 힘든 강풍과 폭우 등으로 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더구나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도처에 사건사고들이 다량 발생하고 있다. 교통사고, 강력사건들이나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고 역시 적지 않게 발생되고 있다.

이 모든 사건 사고들을 어쩌다 발생되는 것으로 단순히 넘길 일은 결코 아니다. 이러한 사건사고들을 보다 세분하여 유형별로 분석하고 빅데이터화하여 순간순간 발생될 또 다른 사건사고에 실시간으로 대비해야 한다.

우리나라 곳곳에 CCTV를 설치하여 범죄자를 추적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사각지대는 여전히 많다. 보다 종합적인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시켜야 하는데, 단순히 느끼고 감지하기만 하면 안 될 것이다. 그에 상응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구축해야 한다. 상시감시 시스템에 대처 기능을 추가시켜야 한다. CCTV로 수상함을 느꼈으면 행동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중 하나로 드론을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의 기술로 그다지 어려운 일도 아니라고 생각된다. 최근에 발생한 안타까운 이태원 참사에 예컨대 드론이 등장하여 빛과 음성으로 안내하고 안전하게 유도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 예방을 위한 연구와 연계는 이제 과학기술이 짊어져야 할 새로운 책무가 되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국가는 관련 법의 제, 개정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이 효율과 향상을 위하여 끝없는 진화를 하려는 것은 당연히 중요하다. 그러나 사회적 안전과 완전 복지를 향하여 그 발전의 속도를 과학기술적으로 조절하는 것 역시 중요시 되어져야 한다. 과학기술은 본디 인류의 복지를 위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런 노력은 결국 이태원 참사 같은 안타까운 비극을 막는 길이기도 하다.


* 최규하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석좌교수, 전 한국전기연구원장, 전 건국대 부총장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