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유라시아 프로젝트⑰] 北 평화발전소, 한전-대형건설사 날개 단다

전력 확대 절실한 북한, 한국 기업과 손잡나

  •  

cnbnews 손정호기자 |  2018.10.09 09:37:36

▲3차 남북정상회담으로 북미 간의 관계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다. 남북경제협력 재개의 걸림돌이었던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북한 내 전략량을 늘리기 위한 발전소 사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일 청와대가 공개한 3차 남북정상회담의 B컷 모습.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경제지도가 새로 그려지고 있다. 비핵화가 실현되고 대북제재가 해제돼 북한경제가 개방의 길로 들어설 경우, 남북 간의 경제협력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CNB는 우리 기업들의 대북사업 전망을 연재하고 있다. 이번에는 북한 발전소 사업 가능성에 대해 다뤘다. (CNB=손정호 기자)

‘한반도 평화발전소’ 핫이슈 부상 
한전 ‘발전 대북협력사업안’ 작성
현대·삼성·대우건설 등 수혜 예상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 이후 미국과 북한 간의 관계개선이 가시화 되면서, 북한 내 발전소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반도 비핵화와 대북제재 해제, 남북경협 재개라는 ‘평화 로드맵’이 실현될 경우,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 지역에 전력 공급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전력은 이에 대비한 각종 플랜을 수립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발전소 협력방안이 담긴 USB를 북한 측에 전달했다. 지난달 열린 3차 정상회담 때는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문 대통령과 동행했다.

한전의 계열사인 한국동서발전은 북한 전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발전분야 대북 협력사업안’을 만들었다. 남북접경지역에 평양에서 생산 중인 전력의 2배를 생산하는 평화발전소를 만들 계획이다. 

한전의 관계사인 한전산업개발(6월말 기준 한전 지분율 29%)의 참여도 점쳐진다. 한전산업개발은 발전소 설비 운영과 관리,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바이오매스 발전)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노하우가 있는 대형건설사들의 수혜도 예상된다.

범(凡) 현대가(家) 기업인 현대건설(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은 1990~2000년경 북한 경수로(감속재로 물을 사용하는 원자력발전소)를 공사한 경험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지난 4월 우즈베키스탄 나보이복합화력(450MW급), 8월 충남 서산시 바이오매스플랜트(110MW 규모) 공사를 수주했다. 

대우건설은 대우그룹 시절 현대건설과 함께 북한 경수로 사업에 참여했다.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북한 황해도 해주지역에 대규모 조력발전소를 만드는 방안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은 사우디아라비아 쿠라야복합화력(3927MW 규모) 등 대형프로젝트에 강점을 갖고 있다. 1월 강원도 강릉안인화력(2080MW급), 3월 인도네시아 칠라마야 복합화력플랜트(1760MW급) 공사를 따냈다. 이런 경험이 북한의 화력발전소 건설 사업에 노하우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북한과 인접한 지형을 가진 강원도에서의 발전소 건설 경험은 남북경협에 상당한 동력이 될 전망이다.  

롯데건설은 지난달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인도네시아 뜨리빠-1 수력플랜트(48MW)를 공동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인도네시아 전력공사와 장기판매계약을 맺어 30년 동안 운영한 뒤 현지정부에 넘기는 방식이다. 북한은 이미 원산-금강산경제특구 등에 외부자본이 시설을 만든 후 일정기간 운영해 사업비를 회수하고, 해당시설을 정부에 넘기는 BOT(Build Operation Transfer) 방식을 제안한 바 있다. 

GS건설은 지난 7월 필리핀 비락시를 방문해 태양광플랜트(2MW급) 건립에 대해 논의했다. 일본 국제협력기구(JICA)의 지원을 받은 프로젝트다. 북한지역 개발에도 국제기구와 협력하는 프로젝트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대림산업은 에너지분야의 글로벌 디벨로퍼(프로젝트 발굴·운영·관리 모든 과정 참여)로 도약할 계획이다. 3월 파키스탄 하와풍력플랜트(50MW급)의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북한지역에서도 풍력플랜트 등 디벨로퍼로서의 능력을 시험해볼 가능성이 있다. 
 

▲남북경협이 재개되면 한국전력공사와 관계사인 한전산업개발, 범현대가로 북한 경수로를 공사한 경험이 있는 현대건설 등 대형건설사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현대건설의 우즈베키스탄 탈리마잔 복합화력발전소 모습. (사진=현대건설)


발전수요 많지만, 불확실성 여전 

북한에 발전소가 필요한 이유는 전력난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통일부에 의하면 2016년 기준 북한 발전량(239억kwh)은 남한의 4% 수준이다. 시설이 낡아서 이용률이 30%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한금융투자 이선엽 부장연구위원은 CNB에 “북한이 경제개방을 해서 대규모 공장과 산업시설이 들어서면 전력이 많이 필요하다”며 “현재 북한의 전력 사정으로는 철도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발전시설이 많이 생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남북경협을 다시 시작하는 초기에(3년내) 북한에 신재생에너지 플랜트(태양광·풍력 등)를 세울 예정이다. 북한주민 7만5000명에게 생활용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중기(6년 안)에는 접경지역인 연천군이나 비무장지대에 평화발전소(500MW급 복합화력)를 건립할 예정이다. 북한 내 산업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서다.  

북한 내 산업 인프라가 건설된 후에는 새로운 석탄화력발전소를 만들 예정이다. 해주(300MW급 2기), 원산(300MW급 2기), 김책(500MW급 2기) 등이 대상지다. 이는 장기(8년 안)계획으로 추진된다. 

하지만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와 대북제재 해제, 남북경협 재개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남북경협이 재개된 후에는 중국, 러시아 등 주변 열강들의 사업 참여가 확실시 되는 만큼 우리 기업에게 돌아갈 사업기회가 예상만큼 크지 않으리라는 전망도 있다.  

(CNB=손정호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